
⏰ 오늘의 T-log 세 줄 요약
- IBCC 2025에서는 글로벌 공동 제작과 생성형 AI 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협업 방식이 핵심 주제로 논의되었습니다.
- BBC, CJ ENM, EBS, KBS 등 각 기관이 실제 제작 현장에서 AI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공유했습니다.
- 생성형 AI가 언어·문화 장벽을 낮추며, 하이퍼로컬 기반의 국제 공동 제작을 더욱 현실적으로 만들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함께 만드는 방송의 미래: 더 나은 내일을 위한 협력”

2025년 11월 19일, 국내외 방송·미디어 업계가 한자리에 모여 글로벌 공동 제작과 생성형 AI 시대의 방송 협력을 논의하는 IBCC(방송 공동제작 국제 컨퍼런스) 2025가 열렸습니다.
이번 컨퍼런스는 “이제는 혼자 만드는 방송은 한계에 다다랐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해, 협력·공동제작·생성형 AI 대응이라는 세 가지 화두를 중심으로 진행됐습니다.
타입캐스트 역시 AI 세션 패널로 참여해, 방송사들이 실제로 AI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글로벌 협업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깊이 있는 논의가 이어졌습니다.
“방송사는 더 이상 홀로 제작할 수 없다”
개회식에서는
- 장태유 감독, 김태호 감독의 축사
- 방송사 단독 제작의 한계
- 생성형 AI의 부상과 창작 영역 변화
- 글로벌 협력의 필수성 이 강조되었습니다.
특히 “AI는 제작 환경의 제약을 허무는 동시에, 인간의 창작성에 새로운 질문을 던지고 있다”는 메시지가 인상적이었습니다.
BBC 스튜디오: ‘딥다이브 코리아’가 보여준 글로벌 협업 모델
BBC Studios는 JTBC와 공동 제작한 <딥다이브 코리아> 사례를 중심으로, 글로벌 협업이 어떻게 설계되고 실행되는지 소개했습니다.
✔ 핵심 포인트
- 16개월간 투명한 소통과 세밀한 기획
- 영국판·한국판 서로 다른 보이스오버 버전 제작
- 송지효 배우가 해녀로 변신해 로컬 이야기를 생생하게 전달
- 기획부터 마케팅까지 전 과정에서 동등한 공동 제작 체계 운영
→ 협력하는 파트너가 다르기 때문에, 서로를 이해하는 과정 자체가 중요하다는 메시지가 강조됐습니다.
CJ ENM: 한·일 드라마 공동 제작의 현실
CJ ENM은 실제 제작 과정에 존재하는 언어적·문화적 차이와 제작 시스템의 간극을 어떻게 극복했는지 공유했습니다.

주요 도전
- 언어 구조의 차이
- 촬영 및 편집 표준의 차이
- 제작 문화와 의사결정 방식의 차이
해결 전략
- 초기에 역할·권한·리스크를 명확히
- 양국 시청자를 모두 고려한 듀얼 타깃 기획
- 장기 프로젝트에 적합한 운영 구조 설계
→ “공동 제작은 결국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조율하는 과정”이라는 결론으로 이어졌습니다.
방송에서 생성형 AI는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가

이 세션은 AI 활용 사례가 가장 구체적으로 다뤄진 시간으로, 이상욱 팀장(MBC C&I) · 최재주 팀장(EBS) · 이주희 슈퍼바이저(KBS) · 김태수 대표(네오사피엔스 타입캐스트) · Jayce Tham CEO(CreativesAtWork/Dear.AI)가 패널로 참석했습니다. 각 방송사·플랫폼이 실제 제작 현장에서 생성형 AI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가 생생하게 공유되었습니다.
EBS: “AI 단편극장”, 그리고 교차 검증 프로세스
EBS는 AI 기반 콘텐츠 제작을 본격화하며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 기획 의도 설정 → 연출 프롬프트 구성
- 생성 결과물의 할루시네이션 교차 검증
- 방송 심의를 통한 품질 검증
- 필요 시 인간 연출자의 후가공
EBS는 앞으로 다양한 AI 포맷 실험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리프레이밍·VFX에 AI 실전 투입
KBS는 AI를 실제 제작 공정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 활용 사례
- 12K 촬영 → AI 리프레이밍으로 세로형 콘텐츠 자동 생성
- 아이돌 영상의 멤버별 포커싱 컷 자동 생성
- 대형 다큐·사극의 AI 기반 VFX 실험
✔ 효과
- 제작 속도 약 10배 향상
- 멀티포맷 제작 효율 증가
✔ 현재 한계
- 학습 데이터의 제약
- 한국적 미학 표현의 어려움
- 텍스트 기반 연출의 한계
- 저작권 이슈
그러나 KBS는 “이 한계는 곧 기술 발전으로 상당 부분 해소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타입캐스트: 감정 기반 보이스 생성의 진화
타입캐스트는 AI 음성의 ‘감정 표현’ 기술을 중심으로 실제 방송 적용 사례를 공유했습니다.
발표에서는 2020년 진행된 ‘너를 만나다(나연이 목소리 복원 프로젝트)’ 사례가 소개되었습니다.

✔ 당시 프로세스
- 짧고 잡음 많은 영상에서 음성 분리 필요
- 유사 연령대 데이터 수집
- 감정 프롬프트를 수십 번 조합해 자연스러운 톤 구현
- 대부분 수작업 기반 복원
✔ 지금의 타입캐스트 기술
- 100만 시간 이상 데이터 기반의 고도화된 보이스 모델
- 학습량·시간의 부담 없이도 자연스러운 목소리 생성
- 감정·톤·상황 기반 정교한 보이스 메이킹 가능
- 방송사와 함께 실시간 인터랙션 실험(댓글 기반 라이브 음성 생성) 진행
타입캐스트는 “AI 음성은 단순한 기계음이 아니라, 감정과 몰입을 담아내는 표현 도구로 확장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CreativesAtWork: 아시아 시장의 ‘하이퍼로컬’ 전략
싱가포르 CreativesAtWork는 아시아 미디어 시장에서 AI가 쓰이는 두 가지 핵심 트렌드를 소개했습니다.
✔ 하이퍼 현지화
단순 번역을 넘어
- 지역적 뉘앙스
- 콘텐츠 톤
- 시청 문화 까지 반영하는 즉각적 다국어 전환 기술이 빠르게 확산 중.
✔ 테스트 자동화
AI가 등장하며 다양하고 넓은 범위의 A/B 테스트를 진행 중
- 썸네일
- 카피
- 편집 버전
- 길이·포맷 등 다양한 변주를 빠르게 만들어 실험할 수 있어 제작 효율이 크게 높아짐.
이 두가지를 가장 큰 트렌드로 소개했습니다.
글로벌 협업의 미래: 언어·문화 장벽의 약화
모든 패널들이 공통적으로 강조한 메시지입니다. 특히 타입캐스트 김태수 대표는 생성형 AI가 가져올 변화의 방향성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 생성형 AI의 확산은
- 언어 장벽을 실질적으로 무너뜨리고,
- 단순히 언어만 바꾸는 수준을 넘어 시청자 성향·문화적 맥락까지 반영한 ‘향(香)’의 변화,
- 즉, 개인화된 콘텐츠가 국가별·언어별로 자연스럽게 재구성되는 시대를 앞당기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서, “AI가 언어·문화적 장벽을 낮추면서, 글로벌 공동 제작에서도 하이퍼로컬 접근이 훨씬 쉽게 구현될 것”이라며, 언어가 서로 다른 사람들이 각자에게 최적화된 버전으로 콘텐츠를 소비하는 환경이 빠르게 도래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타입캐스트는 이 변화의 중심에서
- 감정 기반 AI 보이스 제공
- 다국어 기능 제공
등을 기반으로 국경 없는 제작 환경을 실질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AI는 방송 협업의 ‘확장기’에 들어섰다
IBCC 2025가 보여준 흐름은 명확했습니다.
- AI는 방송 제작과 협력을 ‘확장’시키는 기술이다.
- 세계 각국의 제작 환경은 점점 더 상호 연결된다.
- 언어·문화 장벽이 낮아지며 공동 제작의 문턱 자체가 낮아진다.
타입캐스트는 앞으로도 방송·미디어 업계가 새로운 방식으로 협업하고, 더 많은 창작 가능성을 실험할 수 있도록 기술과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확장해 나가겠습니다.





